본문 바로가기
정부정책 가이드/복지정책

공공임대주택 종류 완벽정리|청년·무주택자라면 꼭 알아야 할 임대 유형

by KOREA MAP 2025. 3. 24.
반응형

공공임대주택이란?

공공임대주택은 국가, 지방자치단체 또는 LH(한국토지주택공사) 등이
무주택 서민, 청년, 신혼부부,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
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하는 공공주택입니다.

 

★ 주요 특징 요약

◆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
→ 소득 수준에 따라 시세 대비 30~90% 수준으로 공급

◆ 무주택자와 취약계층 우선 대상
→ 사회초년생, 고령자, 한부모가정 등도 주요 대상

◆ 공공재원 지원
→ 주택도시기금, 국가 예산 등을 활용하여 건설 또는 매입 후 공급

 

◆ 공공임대주택 종류별 특징

공공임대주택은 입주 대상과 임대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뉘며,
각 유형마다 목적과 조건, 임대료 수준, 계약 기간 등이 달라집니다.
대표적인 공공임대주택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

공공임대주택 종류별 특징

◇ 영구임대주택

→ 대상: 기초생활수급자, 저소득 고령자, 장애인 등
→ 특징: 50년 이상 장기 임대, 시세의 30% 이하 초저가 임대료
→ 비고: 가장 오래된 공공임대 유형이며, 가장 취약한 계층을 위한 주택

 

국민임대주택

→ 대상: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70% 이하 무주택 세대
→ 특징: 30년 이상 임대, 시세의 60~80% 수준 임대료
→ 비고: 주로 저소득 서민층 대상, 상대적으로 공급 물량 많음

 

행복주택

→ 대상: 청년, 대학생, 사회초년생, 신혼부부 등
→ 특징: 최대 6~20년 거주 가능, 시세의 60~80% 수준 임대료
→ 비고: 도심 역세권, 대중교통 접근성 높은 곳에 집중 공급

 

매입임대주택

→ 대상: 저소득층, 청년, 장애인 등
→ 특징: 기존 주택을 LH 또는 지자체가 매입해 임대
→ 비고: 개별 주택 공급, 아파트 외에도 다세대·다가구주택 포함

 

전세임대주택

→ 대상: 저소득층, 청년, 대학생 등
→ 특징: 입주자가 거주할 주택을 직접 물색 → 공공이 대신 전세 계약
→ 비고: 보증금 지원 방식, 주거지 선택 자유도 높음

 

장기전세주택

 → 대상: 무주택 중산층, 신혼부부, 청년 등
→ 특징: 최대 20년까지 장기 전세계약, 시세의 80~90% 전세금
→ 비고: 서울시 SH공사 중심 공급, 내 집처럼 거주 가능

 

분양전환형 공공임대

→ 대상: 일정 기간 임대 후 내 집 마련을 원하는 무주택자
→ 특징: 5년 또는 10년 임대 후 분양 전환 선택 가능
→ 비고: 과거 분양가 산정 논란 있었지만 자산 형성 기회로 주목

 

통합공공임대주택

→ 대상: 소득·자산 기준 충족한 무주택자
→ 특징: 기존 영구·국민·행복주택을 하나로 통합해 운영
→ 비고: 2020년대 이후 새롭게 개편된 모델, 공급 효율성↑

 

★ 공공임대주택 종류 요약 정리

◆ 영구임대주택: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 대상, 시세의 30% 이하 초저가 임대

◆ 국민임대주택: 저소득 서민 대상, 시세의 60~80% 수준, 30년 이상 임대

◆ 행복주택: 청년·신혼부부·사회초년생 대상, 교통 편리한 지역, 6~20년 거주 가능

◆ 매입임대주택: 기존 주택을 매입해 공급, 저소득층·청년 대상, 아파트 외 주택 포함

◆ 전세임대주택: 입주자가 집을 고르면 LH가 전세 계약, 보증금 지원 방식

◆ 장기전세주택: 중산층·청년 대상, 시세의 80~90% 수준 전세금, 최대 20년 거주

◆ 분양전환형 임대: 5~10년 임대 후 분양 전환 선택 가능, 자산 형성 기회 제공

◆ 통합공공임대주택: 영구·국민·행복 유형을 하나로 통합한 최신 임대 모델

 

◎ 함께 보면 좋은 글

청년 주거 정책|공공분양·임대·특화주택 지원

 2025년 기초생활수급자 주거급여 총정리 – 지원 대상과 신청 방법

 교육 급여 바우처 – 지원금액 & 신청방법

 2025년 기초연금 신청 방법과 지급 금액 – 꼭 알아야 할 핵심 정보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