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부정책 가이드/복지정책

공공임대아파트란? 뜻부터 종류, 입주 자격까지 쉽게 정리

by KOREA MAP 2025. 3. 25.
반응형

공공임대아파트란?

국가나 공공기관(LH, SH 등)이 건설하고 공급하는 임대주택으로,
저렴한 임대료로 일정 기간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파트를 말한다.

→ 일반적인 아파트와 달리 소유권이 아닌 '임대권'을 갖는 형태이며,
→ 주로 무주택 서민, 청년, 신혼부부, 고령자 등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제도다.

공공임대아파트란?-뜻-종류-입주가격

① 공공임대아파트의 주요 특징

● 임대 기간→ 기본 5년, 10년, 30년 등 다양한 유형 존재
→ 임대 기간 종료 후, 일부는 분양 전환(매입 가능)도 가능함

● 임대료
→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책정됨
→ 일정 소득 기준 이하일 경우, 임대료 일부 지원 혜택도 있음

● 공급 주체
→ LH(한국토지주택공사), SH(서울주택도시공사) 등 공공기관

 

② 공공임대아파트의 유형

유형 임대 기간 특징
5년 공공임대 5년 임대 후 우선 분양 전환 가능
10년 공공임대 10년 비교적 중산층 대상, 분양 전환 옵션 포함
30년 공공임대 30년 분양 전환 불가, 장기 거주 목적
영구임대주택 평생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 등 대상, 아주 저렴한 임대료
행복주택 6~20년 청년, 신혼부부 등 대상, 교통 좋은 지역 우선 공급

 

③ 입주 자격 조건은?

→ 소득, 자산, 무주택 여부 등을 기준으로 선정
→ 대상에 따라 자격 조건이 조금씩 다름

○ 청년/대학생: 만 19~39세, 소득 요건 충족 시
○ 신혼부부: 결혼 7년 이내, 자녀 유무에 따라 우선 순위
○ 고령자: 만 65세 이상, 일정 소득 기준 이하
○ 저소득층/기초생활수급자: 별도 심사 후 입주

※ 공급 공고마다 조건이 다르므로, LH청약센터나 마이홈포털을 통해 확인 필요

 

④ 이렇게 기억하세요

공공임대아파트는
주거 안정이 필요한 계층을 위한 공공 지원 제도로,
장기간 안정적인 임대와 저렴한 임대료가 가장 큰 장점이다.

단순히 '싼 아파트'가 아니라,
국가가 운영하는 주거 복지 시스템이라는 점을 기억하면 좋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