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부정책 가이드/복지정책

청약 1순위 조건 완벽 정리 |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기준 차이

by KOREA MAP 2025. 1. 8.
반응형

 

청약 통장을 만들었다면, 이제는 1순위 조건을 충족해야 청약 당첨의 문턱에 설 수 있습니다. 청약 1순위 조건은 주택 유형(국민주택, 민영주택), 거주 지역, 통장 가입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 오늘은 청약 1순위 조건의 세부 기준과 가점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📌 이 글에서 다룰 내용
  • 청약 1순위 조건 기본 요건
  • 국민주택 vs 민영주택: 주요 차이점
  • 청약 가점제 계산법

1. 청약 1순위 조건 기본 요건

청약 1순위가 되려면 기본적으로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:

  • 청약 통장 가입 기간: 투기과열지구는 2년, 수도권은 1년, 수도권 외 지역은 6개월 이상.
  • 납입 횟수: 국민주택은 월 납입금 기준 충족 필요.
  • 무주택 여부: 무주택 세대주일 경우 우선적으로 1순위 자격을 얻습니다.
  • 거주 지역: 해당 주택 건설 지역이나 인근 지역에 거주.

2. 국민주택 청약 1순위 조건

국민주택은 공공기관이 건설한 아파트로, 아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:

  • 투기과열지구: 가입 후 2년 이상, 월 24회 이상 납입, 해당 지역 2년 이상 거주.
  • 수도권: 가입 후 1년 이상, 월 12회 이상 납입.
  • 수도권 외 지역: 가입 후 6개월 이상, 월 6회 이상 납입.

3.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조건

민영주택은 민간 건설사가 분양하는 아파트로, 국민주택과는 다르게 예치금 기준이 적용됩니다. 예치금은 청약 신청자의 주민등록상 거주 지역 기준으로 달라집니다:

지역 85㎡ 이하 예치금 85㎡ 초과 예치금
서울, 경기 300만 원 1,500만 원
광역시 250만 원 700만 원
기타 지역 200만 원 400만 원

4. 청약 가점제 계산법

1순위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경쟁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가점제를 통해 당첨자가 결정됩니다. 가점은 아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:

  • 무주택 기간: 최대 32점 (만 30세부터 산정, 혼인 시 혼인신고일부터).
  • 부양 가족 수: 1명당 5점씩, 최대 35점.
  • 청약 통장 가입 기간: 가입 후 15년 이상 시 최대 17점.

마무리

청약 1순위가 되려면 지역별, 주택 유형별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,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에서는 가입 기간과 납입 금액 기준이 까다로우니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청약홈을 방문해 보세요.

반응형